카테고리 없음

어제는 어머니 생신이었다.

푸른하늘 파란하늘 2017. 7. 11. 03:01

 

                                                  멕클린 한인 장로교회 파킹장 한편에 있던 꽃.


                               7월10일.2017년.월요일.

                         어제는 아침 5시경부터 잠이 깬 후,

                         가족들이 잠을 깰까봐 한참을 누워 있다가

                         6시경에 친정 부엌으로가서 커피를 마시고

                         남편의 커피를 만들어 가지고  리빙룸으로 갔었다.

    


                         그제 왔던 남편과 텍사스에서 온 둘째는

                         막내를 친정에 남겨두고  그제 큰딸집으로 왔었다.

                         타운하우스 층계로 막내를 들어 올리는 것이 힘들다고

                         친정에 먼저 가서 어머니께 인사를 드리고

                         막내를 컴퓨터하라고 두고 큰딸집으로 갔었다.

                         나는 남편을 따라서 딸집에서 나와서 친정으로 같이 갔다

   


                                               큰딸집에서 나와서 워싱톤을 지나서 집으로 돌아 오던길.

  

                         딸에게는 미리 그 전날 " 아무래도

                         네 아빠 따라서 가야 겠다"고 말을 했다.

                         ' 아빠가 막내학교 보내는 것이 힘드시는것 같다.'고

                         ' 하루는 8시에 버스가 오는날 7시30분에 일어나서

                         벌써 집앞에 도착한 버스운전기사에게 " 10분만 기다려달라."고 양해를 구하고

                         학교에 보냈다고 하더라.'는 말을 하고 , ' 아무래도 엄마가 가야겠다.'고 했다.



                          목요일에 딸집에 왔다가 토요일에 친정으로 왔으니

                          한 10일은 밥을 해준 셈이다. 만 9일만이다.

                          그제는 압력밥솥에 밥을 해놓고, 새로 미역국을 끓여놓고

                          소고기와 소갈비에 양념으로 재어놓고 왔지만

                          어제 어머니교회 끝나고, 한국수퍼에 들렀다가

                          뉴져지로 돌아 오기전에 다시 큰딸집에 잠깐 들렀다.


                        

                           딸에게는 지금 뉴져지로 가지만

                           8월중으로 사위가 출장을 간다고 하니

                           그때 엄마 도움이 필요할테니 다시 오겠다고 말했다.

                           사위가 산휴휴가로 3주가 끝나는 날이 7월 23일이고,

                           24일부터 출근을 한다고 한다

                           6월30일에 아기를 낳고 그때 쯤이면

                           큰딸도 몸을 추스리고 일상으로 돌아올수 있을것 같다.



                                 손자가 뉴져지에 같이 가겠다고 떼를 써서  사위가 달래는 중이다.



                             큰딸집에 며칠전 벨을 누르고, 이웃집에서 왔었다.

                             그집 딸(7살)도 수영레슨을 같은 곳에서 받는데

                             아침에 갈떄 같이 데려 가겠다고 했다.

                             그러니까 사위가 출근하는 7월 24일부터 부탁하겠다고 했다.

                             참 좋은 이웃이란 생각이 든다.

                             여러가지로 이웃에서 도움을 주고 있었다.

                             자기네 잔디를 깎을때 옆집에서 딸집도 같이 깎아주는 사람도 있었다.


          

                             이웃집들이 서로 붙은 타운하우스도 젊은 부부들에게는 좋은 것 같다.

                             좋은 일에는 서로 초대하고,

                             좋은 정보도 서로 알려주는 이웃이 있으면

                             살기 좋은 동네로 훗날에도 기억을 할것이다.


                                                                    멕클린교회 예배시간이다.

                                                        남편, 나,막내딸,둘째딸은 교회 뒷자리에 앉았다.

  


                             어제는 큰남동생과 어머니께서 다니시는 ' 멕클린 한인 장로교회'에 갔었다.

                             이 교회를 예전에는 ' 좋은 동네에 교회가 있다.'고 했었는데

                             지금은 버지니아 일대가 다 달라져서

                             더 좋은 동네에 있는 교회들도 아주 많다.

                             개척교회는 아니지만 그보다 조금 많은 교인들이 모이는 교회이다.

                             우리 가족은 처음 70년대에 미국에 와서는 ' 워싱톤 중앙장로교회.'에 다녔었는데,

                             이민교회는 여러가지 사정으로 자꾸 갈라 진다.

             


                             한번도 문제를 일으키는 중심에 없었던 내 친정가족들이

                             교회에서 목사님과 교인들 사이에 일단문제가 생기면

                             그 교회에 남아 있느냐 떠나느냐로 고민을 하다가

                             한참 시간이 흐른 후에는 다른 교회로 나가게 되는것 같다.



                                                     집으로 돌아 오는길에 발티모어 턴넬을 지났다.

 


                             한동안은 순복음교회에 나가다가 여동생은

                             순복음교회에서 친해진 이희돈 장로님(911사건때

                             쌍둥이 빌딩에서 살아 나신분) 내외분을 따라서 지금 다니는 교회로 갔고.

                             어머니와 큰남동생은 여동생과 같이 옮겼다가

                             큰남동생친구가 다니는 지금의 교회(맥클린 장로교회)로 옮겼다.



                             그래서 나와 남편은 만약에 이곳으로 이사를 오게되면

                             어느 교회에 나갈지 모르겠다.

                             여기 저기 다녀봐서 정하게 될지

                             사는 집에서 가까운 곳으로 정할지

                             어머니교회로 나가야 하는 것일지 그때 가서 생각해야겠다.


                                              집으로 오는 길에 발티모어 크루스 선착장을 지났다.

  


                             내 어머니께서 어떻게 이리 건강히 사시는 것인지에 대해서

                             어제 교회예배가 끝나고 어머니가 같이 타신 동생차 뒤를

                             여기저기 다른 식품점으로  

                             쫒아 다니는 길에 남편이 이야기를 했다.

   


                             어머니께서는 생선은 어디가 좋고,

                             또 어느 수퍼에서는 야채가 싱싱하고,

                             또 어디를 가면 고기가 좋다는 것을 아시고

                             매 식품점 가실 때마다 여기 저기 다니시면서 쇼핑하신다는 것만 보아도  

                             다른 87세 할머니들에게 없는 기억력과 자기 주장을 가지고 계시다는 증거라고 했다.

                          


                            사실 어머니께서 쇼핑하시는 데로 뒤를 쫒아 다니다가 좀 짜증이 났었는데,

                            어머니의 상태를 분석을 하는 남편얘기를 들으니

                            여직도 맛있는 음식을 만드시는 어머니께서  

                            살아 계셔서 감사한 마음이 생겼다.

                            어제는 어머니의 87세 생신날이었다.



                            어제 예배시간후에 새로 오신 목사님께서

                            막내동생에 대해서 얘길 하시고, 그 교회에서

                            선교 담당 장로님 내외분께서 에콰도르에 방문하신다는 말씀을 하셨다.

                            그래서 어머니께서는 생신이신데도 불구하고

                            가족들과 생일축하하는 모임보다는 어제 새로 오신

                            목사님 취임예배 잔치에 더 참석하시고 싶어 하셨다.

 

                                                     친정에서 둘째딸과 손자가 컴을 들여다 보고있다.

  


                           할머니생신과 새로 태어난 조카를 보려고 텍사스에서 왔던 둘째딸도

                           할머니생신날에 가족과 같이 식사하는 것을 포기했다.

                           하루 더 있다가 오려했던 계획을 취소하고 , 어제 뉴져지로 돌아왔다.

                           어머니로서는 선교사 아들을 지원해 주는 교회가 고마워서라도

                           교회의 모든 행사에 참석하시고 싶어 하셨다.

   


                           어머니 생신이신데 어머니께서

                           그 생신날에 기뻐하시는 마음으로 지내시도록

                           쇼핑이 끝나서 작별을 하고 헤어졌다.

                           예배가 끝난 후에 일단 집으로 갔다가

                           새목사님 환영파티 예배에 참석하러 5시에

                           다시 교회에 가야 한다고 어머니께서 말씀하셔서

                           음식점에 어머니를 모시고 가는 것은 포기했다.



                           어머니와 헤어진후에 시장 본것을 가지고 다시 큰딸 집으로 갔다.

                           방금 해놓은 따뜻한 생선전과 잡채와

                           소고기 불고기를 양념으로 재 놓은 것과

                           여러가지 식재료와 시금치 다섯단을 가지고 갔다

 

                                                     사위가 기타를 치면 손녀나 손자가 노래를 했다


                           큰딸은 거의 양식으로만 먹고 살았다.

                           전날 비오던 날에 사위와 나가서 한인마트에서 사온

                           시금치 두단(한단에 $1.99 )으로 시금치나물을 무쳤었다.

                           손녀와 손자가 시금치 이름도 모른체  

                           'green leaf, green leaf'을 더 달라고 맛있다고 했다.  


                        

                           사위도 자기 아이들이 아주 시금치나물을

                           좋아 하는 것을 보고는 " 뽀빠이 세일러맨 ."

                           노래를 스마트폰으로 찾아서

                           기타를 치면서 노래를 손주들에게 가르쳤다.

                           노래를 부를때마다 두살 손자가 자기아빠를 따라서

                           어깨에 힘을 주면서 팔위쪽 근육의 알통을 보여 주었다.



                           큰딸은 귀찮게 다듬고 씻어야, 먹을수 있는 힌국음식보다는

                           조리하기 쉬운 서양식으로 주로 먹고 살았던것 같다.

                           외할머니댁에 가서야 한국음식을 먹는것 같았다.

                           왜냐면 지난번 내가 해줬던 장조림과 멸치볶음이 그대로 있었다.

 


                           어제 큰딸 집에 가자마자 다섯단의 시금치를 다듬고 씻어서

                           끓는 물에 데쳐서 한번 먹을 만큼씩 시금치를 꽉짜서

                           7- 8개로 뭉쳐서 작은 플라스틱박스에 넣고,

                           또 다른 두뭉치는 잘게 썬다음에 참기름과

                           아주 조금 소금을 넣고 무쳐서 렙으로 씌워서 그릇에 담았다.



                          딸아이는 어찌된 일인지 내게 쩔절매면서 고마워 했다.

                          내가 더 있기로 했다가 그냥 예정대로 가야겠다고 말을 했는데도

                          그전에 내게 보여 주던 태도는 다 어디로 가고

                          친정어머니인 내게 아주 고분 고분한 딸이 되어 있었다.

                          좀 철이 없었던 딸을 사위가 잘타이르고

                          어머니께 잘해드리라고 한것 같았다.


                                                       손자가 같이간다고 차에서 먼저 안전띄를 메고있다.


                         사위는 집안분위기를 아주 재미있게 잘 이끌고 있었다.

                         내딸이 사위에게 아주 순종적인 것이 참 마음에 든다.

                         결혼전 교회 소구릅으로 서로 만나서 우리집에도

                         3번이나 왔었다는 사위가 너무 재미있어서

                         내딸이 좋아 했던 것은 참 잘한 선택이라고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