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배려의 계절.

푸른하늘 파란하늘 2016. 12. 14. 01:04



                                     12월13일.2016년.화요일.

                                     나는 겨울 추위를 못견뎌 한다.

                                     집안에서 터틀넼 셔츠에 겉에는 쉐타를 입고 지내는데도

                                     아침이면 부엌에 내려가기 전에 또 하나의 쉐타를 걸치고

                                     내려가서 아침을 준비하게 된다. 우리집 온도는 화씨65도이다.

                                     섭씨 18도인데 나는 추워서 양말을 신고

                                     중무장을 한채 부엌으로 내려 가는데,

                                     남편은 터틀넼 티셔츠하나로 돌아 다닌다.

                                     남편이 2월생이고, 나는 8월생이라서 그럴까 남편보다 내가 추위에 약하다.




                                     어제 저녁에는 남편 동창회에 안나왔던 델라웨어에 사는

                                     남편친구 부인에게서 내가 보낸 카톡에 대해 답이 왔었다.

                                     남편친구의 큰딸이 내 큰딸과 같은 지역에 살고 있는데

                                      2 주 전에 그 큰딸이 난소에 혹이 있어서 수술을 받았었다.

                                     딸이 병원에 있는 동안 딸집에 내려가서, 3살과  4달된

                                     손녀딸들을 봐주고 몸살이 났었다고 한다.

                                     본인도 암투병중인데, 두 손녀 보는 일이

                                     얼마나 힘들었을지 짐작이 갔다.

 



                                     지난주에는 큰딸이 사는 지역에 새로 생긴  H-마트에서

                                     남편친구의 큰딸을 만나서 서로 전화번호를 주고 받고,

                                     우리딸이 자기집으로 점심식사에 초대를 했다고 했다.

                                     어디 아프다고 했다는데, 수술받은 줄은 몰랐다고 했다.

                                     남편친구 큰딸이 그날 저녁 전화로 수술받은 얘기를 하고,

                                     운전을 할수 있는, 3주후에나  놀러 가겠다고 말했다고 들었다.




                                     어려서 한동네에 살아서 같은 한글학교에 다녔고,

                                     자라서는 잘 만나지 않았어도

                                     서로 오며 가며 스치면서 살아왔기 때문에

                                     이 미국땅 넓은 곳에서도 결혼후에 서로 같은 지역에 살게 되어

                                     부모가 한국사람이라는것 때문에 한국음식을 먹는 이들이

                                     한국수퍼에서 같이 만나게 된것 같다.




                                     남편친구 부인은 카톡으로 배추 한박스 무우 한박스를

                                     이웃과 반씩 나누어서 김장을 했다면서 나보고

                                     여러가지 김치를 잘담는 내 건강이 부럽다는 소리를 했다.

                                     나를 김치를 여러가지 잘담는 건강체로 기억을 하는 사람들이 많다.

 



                                     동창회에서 남편후배 부인도, 남편동기 그 마른 부인도.,

                                     또 델라웨어에 사는 부인도 다들 나를 그렇게 기억하고 있었다.

                                     그래서 델라웨어에 사는 남편친구 부인에게 

                                    ' 나도 옛날처럼 그러고는 싶다. 

                                     그러나 내몸이 그 옛날 그 몸이 아니라서 요즘은

                                     조금씩 담아서 먹고 있다'고 카톡을 보냈다.





                                     나는 나때문에 사람들이 힘들게 수고하여 

                                     주는것을 받으면 어쩔 줄을 모르도록 부담이 된다.

                                     내가 막내를 낳고 집에서 있을 때에 ,

                                     동네에 '용성이 엄마'가 김치를 담아서 가져온 일이 있었다.

                                     큰딸과 용성이는 나이가 같다.




                                     내가  6개월 미숙아를 낳고 누워 있던 것이 마음에 아팠던지

                                     "앞으로 김치는 제가 만들어 줄테니 사먹지 마셔요."라고 말하고 돌아갔다.

                                     사실 용성이 엄마는 음식을 잘 못하는 편이다.

                                     서로 왕래하면서 지냈는데, 매번 간이 안맞는 음식을 했었다.

                                     그래도 우리가족을 초대했고 또 나도 용성이네를 초대하면서 지내왔다.

                                     얼마나 내게 잘하였던지 참 고마운 사람으로 지금도 기억난다.

  



                                     그당시 내가 몸이 약했지만 용성이 엄마가

                                     매주 우리집에 김치를 가지고 오는 것이 미안해서

                                     남편에게 배추 한박스를 사오라고 했었다.

                                     한박스의 배추로 김치를 담그고는 전화를 해서

                                     김치를 한박스 담았으니 안가져 와도 된다고 전화를 했다.

                                     용성이엄마에게 지금도  너무 너무 고마운 마음으로 남아 있다. 




                                    남의 도움을 받는 일이거나 선물을 받는 일이거나

                                    말로만 고맙다고 하기 보다 

                                    그 고마움에 답례를 해야 나는 속이 편하다.

                                    그런 수고의 친절을 자주 받지 않으려면

                                    내가 불쌍한 사람이 되어서는 안되겠기에

                                    나는 뇌성마비 막내를 키우면서도

                                    남에게 힘들다는 소리를 안하고 살아 왔다.

 


                                    그런데 이런 내게 오히려 자기가 힘들어 죽겠다면서

                                    일을 시키는 사람들이 참 많았다.

                                    교회모임에서 한동네에 사는 5살 젊은 여자가 오징어껍질을

                                    벗겨 오라고 심부름을 시키는 사람하며,

                                    자기집에 먹을 김치가 없다고 김치를 가져 오라고 하는사람,

                                    깻잎 김치를 싱싱하게 막 만들어서 가져 오라는 사람....

                                    지금 돌이켜 보건대, 힘들다는 소리를 안하고 살아온 것이 잘한것 같지는 않다.


 


                                    나는 큰딸이라서 그랬는지 아니면 .

                                    태어 나면서부터 그랬는지

                                    아픈 것이나 힘든 일들은 잘 참고 잘 견딘다. 

                                    춥고 더운 것만 잘 못참는다.

                                    그런 것이 습관이 되어서 너무 잘 참는것 때문에

                                    일이 잘못 되었던 때도 있었다.

 



                                    미국오기 하루전날 얼음에서 미끄러져 넘어졌는데,

                                    오른쪽 손목뼈가 골절이 되었었다.

                                    아픈 것을 참았더니 어머니께서  " 삐었으니 네가 그렇게 참지

                                    뼈가 부러지면 얼마나 아픈줄 아니 ?" 나는 잠을 이루지 못하고

                                    뜬눈으로 아픔을 견디면서, 그 다음날 김포공항을 통해서

                                    미국으로 가족과 함께 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손목통증은 여전했다.

                                    아버지께서 보시고 나를 병원 응급실에 데리고 가셨다.

                                     X- 레이 사진을 찍어 보니 ,

                                     빼가 부러진 채로 이미 잘못 붙어 있었다.

                                     그런데 다시 본래대로 하려면 그 뼈를 다시 부러뜨려서

                                    기부스를 하겠느냐고 물어서

                                    괜찮다고 그대로 기부스를 하겠다고 해서

                                    기부스를 하게 되었다.



                                    내가 어머니였으면, 혹시 모르니 병원에 가자고 했을텐데

                                    내 어머니께서는 나보고  " 삔것 가지고

                                    엄살이 심하다."는 소리를 하셔서 꾹 참게 하셨다.

                                    나는 지금도 내가 아픈것이나 괴로운 일을 혼자 속에서 견디는데,

                                    나같은 사람은 좀처럼 남의 배려를 받을 수가 없다.




                                    사람들은 내앞에서 힘들다는 소리를 잘해서

                                    내게 위안을 받거나, 도움을 받으려고만 한다.

                                    이런 일은 남이 잘못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  

                                    내 성격 탓이라는 것을 잘 안다.

                                    아프면 아프다고 하고, 힘들면 힘들다고 하고

                                    그러고 살았어야 하는데, 이미 나는 누구에게나 건강한 사람으로

                                    알려져 있고, 또 사실 아직껏 허리아픈것 빼고는 건강해서

                                    오늘도 또 조금있다가 허리근육에 좋다는 수영을 하러 갈수 있는가보다.

 


                                    사람은 자기가 말하는 대로 그 복을 받는다고 들었다.

                                    이제껏 그렇게 살아 왔는데, 내가 갑자기 엄살을 부리고

                                    약한사람으로 살아 갈수가 있을까?

                                    내게 여건이 허락하는 대로 도울수 있는 사람은 돕고

                                    위로가 필요한 사람에게는 위로를 하면서 살아 가고 싶다.